최신기사
-
-
-
[마감시황] 코스피 3일만의 상승 마감…기관 홀로 지수 견인
코스피가 3거래일만에 반등했지만 2700선 회복은 실패했다. 4월 26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11.18포인트(0.42%) 오른 2668.31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기관 순매수세에 상승세로 마감했다. 개인이 644억원, 외국인은 2487억원 어치를 각각 순매도한 가운데 기관이 2766억원 순매수로 지수를 견인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최근 글로벌 증시의 가파른 가격조정에 따른 과매도 인식과 이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며 "미국 증시의 기술주 중심 반등이 국내증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여전히 미국 긴축은 부담되며 중국도 코로나19에 따른 봉쇄조치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 상승폭의 일부를 반납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LG에너지솔루션(-2.19%), NAVER(-0.52%), 삼성전자우(-0.50%), 삼성전자(-0.30%) 등은 하락했다. 기아(4.90%), SK하이닉스(2.78%), 현대차(2.75%), 삼성바이오로직스(1.39%), 카카오(0.56%), 삼성SDI(0.52%)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 하락한 업종은 철강금속(-1.58%), 보험(-1.26%), 통신업(-0.35%), 의료정밀(-0.35%), 화학(-0.2%) 등이다. 상승한 업종은 종이목재(2.53%), 의약품(2.51%), 운수장비(2.22%), 운수창고(1.76%), 비금속광물(1.36%) 등이다. 코스닥도 오름세다. 이날 코스닥은 전날보다 11.32포인트(1.26%)오른 911.16으로 마쳤다. 개인은 413억원, 외국인은 324억원 각각 순매도했다. 기관은 893억원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에코프로비엠(-0.99%), 엘앤에프(-0.62%) 등은 하락했다. 펄어비스(6.99%), 셀트리온헬스케어(6.41%), 셀트리온제약(5.78%), HLB(3.08%), 리노공업(2.02%), 카카오게임즈(1.98%), CJ ENM(1.21%), 천보(1.13%)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 하락한 업종은 운송(-0.08%) 등이다. 상승한 업종은 종이/목재(4.08%), 음식료/담배(3.55%), 인터넷(2.81%), 유통(2.46%), 비금속(2.28%), 디지털컨텐츠(2.22%), 제약(1.87%), 금융(1.8%), 운송장비/부품(1.63%) 등이다.
-
-
-
-
[개장시황] 코스피, 3일 만의 반등 시도…"최근 낙폭 과대"
코스피가 3거래일 만에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4월 26일 오전 9시 14분 코스피는 전날보다 11.00포인트(0.41%) 오른 2668.13에 거래 중이다. 외국인은 282억원, 기관은 277억원 각각 순매도하고 있지만 개인이 603억원 순매수로 지수를 견인하고 있다. 앞서 마감한 미국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다우와 S&P500, 나스닥 모두 상승세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피도 상승이 기대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일 국내 증시도 최근 낙폭이 과대했다는 인식 속에 미국 증시 강세 효과에 힘입어 반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국 외환당국 측에서 위안화 환율 방어 목적으로 외환 지준율을 인하하는 등 사태진화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증시의 불안심리 진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우크라이나 사태와 공급난 등 대외 악재 속에서도 현대차와 기아차 등 주요 기업들이 잇따른 호실적을 기록하는 등 양호한 1분기 실적시즌을 보내고 있다"며 "이런 부분도 증시 반등 요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LG에너지솔루션(-2.19%) 등은 하락했다. 현대차(3.30%), LG화학(1.23%), SK하이닉스(0.93%), 삼성SDI(0.87%), 카카오(0.78%), 삼성바이오로직스(0.76%), NAVER(0.52%), 삼성전자우(0.50%), 삼성전자(0.30%)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 하락한 업종은 보험(-0.83%), 철강금속(-0.7%), 통신업(-0.4%), 음식료업(-0.32%), 금융업(-0.13%) 등이다. 상승한 업종은 종이목재(2.71%), 운수장비(2.58%), 의약품(1.89%), 의료정밀(1.76%), 비금속광물(1.48%) 등이다. 코스닥도 강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은 전날보다 8.05포인트(0.89%) 오른 907.89에 거래되고 있다. 기관은 56억원, 외국인은 397억원 각각 순매도 중이지만 개인이 480억원 순매수에 나섰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펄어비스(4.15%), 셀트리온제약(3.13%), 셀트리온헬스케어(2.95%), 천보(2.16%), 위메이드(1.75%), CJ ENM(0.89%), HLB(0.86%), 카카오게임즈(0.82%), 엘앤에프(0.71%), 에코프로비엠(0.51%) 등이 상승했다. 업종별로 하락한 업종은 기계/장비(-0.1%) 등이다. 상승한 업종은 디지털컨텐츠(2.15%), 통신서비스(1.74%), 소프트웨어(1.7%), 출판(1.62%), 섬유/의류(1.49%), 비금속(1.41%), 유통(1.33%), 종이/목재(1.21%), 기타 제조(1.03%) 등이다.
-
-
-
-
[아주증시포커스] 자사주 매입한 코스닥 사면 담는다?… 신탁 여부 먼저 따져보자 外
◆아주경제 주요뉴스 ▷자사주 매입한 코스닥 사면 담는다?… 신탁 여부 먼저 따져보자 -글로벌 증시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자사주를 직접 매입하는 코스닥 상장사 증가. -직접 매입보다 증권사 등을 통한 신탁 매입 비중이 여전히 커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 -연초 이후 자사주를 직접 매입한다고 공시된 건수는 코스닥 상장사는 22개사, 23건으로 지난해 두 배. -증권사 등을 통한 신탁으로 자사주 매입에 나선다고 신고한 상장사는 64개사로 전년 23개사 대비 급증. -올해 직접 자사주 매입을 알린 코스닥 상장사 23개사 공시 전날 종가 대비 현재 주가 평균 상승률은 5.15%. 상승한 종목은 16개. -기업이 직접 취득에 나설 경우 3개월 내에 주식을 매수해야. -하지만 신탁 매입은 자사주 매입 신고 기간 중 주식을 매도할 수 있어. ◆주요 리포트 ▷MSCI·코스피200·코스닥150 정기변경 예상 -MSCI 5월 반기 리뷰에서 현 시점 예상 편입 종목은 현대중공업이 유일. 외국인 투자자들이 통신주를 지속 매입해 KT 편입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졌고 SK텔레콤 제외 가능성은 높아짐. -SK텔레콤이 제외되지 않는다면 기준일 전체시가총액이 가장 작은 1개 종목이 제외될 예정. 4월 21일 기준 전체시가총액이 가장 작은 종목은 씨젠이며, 그 다음은 녹십자, SK케미칼, 알테오젠 순. -코스피200에는 하나투어가 추가로 편입될 것으로 예상. 하나투어가 편입되며 CJ CGV가 추가로 제외될 예정. -남은 변수는 풍산의 잔류 여부. 풍산과 효성화학의 일평균시가총액 차이가 크지 않아, 두 종목의 순위가 바뀔 가능성이 근소하지만 있음. 풍산이 제외되면 CJ CGV는 잔류. -코스닥150 예상 편입 종목은 위지윅스튜디오, 골프존, 비덴트, 네오이뮨텍, 다날, 하나마이크론, 엔케이맥스, 인텔리안테크, 나노신소재 등 12종목. -예상 제외 종목은 엔지켐생명과학, 셀리드, 휴온스글로벌, 에코마케팅, 톱텍, 다나와, 오이솔루션, 유니슨, 엠투엔, AP시스템 등 12종목. ◆장 마감 후(25일) 주요공시 ▷휴스틸, 보통주 한 주당 액면가를 5000원에서 1000원으로 나누는 주식 분할을 결정. ▷기업은행, 연결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조333억2600만원, 8505억9500만원으로 잠정 집계. ▷기아, 연결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8조3572억3600만원, 1조6064억8100만원으로 잠정집계. ▷LX세미콘,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279억19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5.9% 증가.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바이오텍 주식 30만주를 55억6200만원에 현금취득. ▷케이비제19호스팩,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지 않아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후 1개월 이내 사유가 해소되지 않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 ◆펀드 동향(22일 기준, ETF 제외) ▷국내 주식형 +250억원 ▷해외 주식형 +44억원 ◆오늘(25일) 주요일정 ▷한국 : 1분기 경제성장률 ▷미국 : 3월 리치몬드 제조업지수, 2월 주택가격지수, 3월 신규주택판매, 3월 내구재주문 ▷일본 : 3월 실업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