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셀트리온헬스케어, 유럽 직접판매 모든 제품으로 확대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유럽에서 일부 제품에 한정했던 직접판매(직판)를 모든 제품으로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파트너사를 통해 판매하던 자가면역질환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는 2019년부터 직접 판매 이후 5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 관계자는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가격 경쟁력 및 맞춤형 마케팅을 기반으로 5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하며 인플릭시맙 1위 자리를 안정적으로 지키고 있다”고 말
- 2022-05-10
- 11:35:42
-
시지바이오, 美 WFIRM과 3D프린팅 이용 뼈·연골 재생 연구 협력 바이오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는 웨이크 포레스트 재생의학연구소(WFIRM)와 연구 협력에 돌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미국 재생의료 제품 개발 협력 기관인 ReMDO 조슈아 헌스버거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통해 이뤄졌다. ReMDO는 학계, 산업체와 정부 기관을 연결시켜 재생의학 기반 치료 제품을 연구 개발하는 비영리 기관으로, 세계적인 재생의학 회사들과 연계돼 있다. WFIRM은 재생의료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 재생의학연구소로, 시지바이오는 3차원 바이오 프린팅 선두 그룹인
- 2022-05-10
- 10:30:02
-
[상보] 신규 확진 4만9933명 '2.4배 급증'…위증증 감소 400명↓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만9933명 발생해 전날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위중증 환자는 398명으로 81일만에 400명 아래로 떨어졌다. 사망자 수는 지난달 30일 이후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4만9933명 발생해 누적 확진자 수는 1761만4895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평일 검사량 증가의 영향으로 일요일인 전날(2만601명)보다 확진자가 약 2.4배 늘었다. 일주일 전 화요일인 지난 3일(5만1131명)보다는 1
- 2022-05-10
- 10:29:23
-
-
9일 오후 9시까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4만8491명...전주 대비 1016명 감소 9일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4만8000여명의 신규확진자가 발생했다.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4만8491명이다. 전일 동시간대(2만118명)와 비교하면 2만8373명이 늘었다. 전주 월요일(4만9507명)보다는 1016명이 감소했다. 휴일동안 줄었던 코로나19 검사량이 평일이 되면서 회복세를 보이며 신규확진자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월요일 발표 기준으로는 8주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감소세가 정체기
- 2022-05-09
- 21:48:34
-
지아이이노베이션,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연구비 70억 지원 지아이이노베이션은 면역항암제 ‘GI-101’ 개발 프로젝트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2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임상개발 과제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이에 따라 GI-101의 임상 1·2상에서 최적의 치료 적응증을 선정해 임상 2b·3상 진입 또는 기술이전을 목표로 2년간 최대 70억원 규모의 연구 지원을 받게 된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2024년 2월까지 GI-101의 단독요법 및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로리주맙), ‘렌비마’(렌바티닙), 국소 방사선과 병용요
- 2022-05-09
- 15:48:03
-
동아제약, '템포 탐폰' 美 FDA 승인 획득 동아제약은 체내 삽입형 생리대 ‘템포 탐폰’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템포 탐폰은 2가지 라인으로 구성되는데 이번에 승인 받은 제품은 오리지널 순면 라인이다. 내추럴 유기농 라인은 앞서 지난해 9월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템포 탐폰 제품은 오코텍스 인증부터 최근 미국 FDA 승인까지 획득해 제품의 품질을 인정 받았다”며 “앞으로도 템포를 통해 여성의 삶이 좀 더 자유롭고 편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브랜드가 될 수
- 2022-05-09
- 13:57:14
-
삼성서울병원, AI 기반 '욕창단계 예측솔루션' 개발 국내 연구진이 환자의 욕창 부위 사진으로 병의 악화 정도를 분석·예측하고 적합한 드레싱 제품을 추천해 주는 인공지능(AI) 솔루션을 개발했다.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강미라 교수와 간호본부 심소연·김민경·송미라 연구팀은 파인헬스케어와 함께 AI 욕창 단계 예측 솔루션 시스템 '스키넥스'(Skinex, Skin Explainable AI)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권위의 의료 IT협회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HIMSS)가 주관한 2022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포스
- 2022-05-09
- 13:40:11
-
차백신연구소, 바이오코리아서 '면역증강 플랫폼 기술' 소개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는 이달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 코리아 2022’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는 오는 12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백신 원·부자재 기업 혁신 기술 사례 공유’ 세션에 연자로 참석해 ‘면역증강 플랫폼 기술과 그 활용’이라는 주제로 자체 개발한 면역증강 플랫폼 기술과 이를 활용해 개발 중인 백신, 면역항암제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해당 세션에서는 국내 기업의 백신 개발 전략이 논의
- 2022-05-09
- 13:28:59
-
[상보] 신규확진 2만601명…사망 40명·위중증 421명 지난 8일 하루 전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만601명 발생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9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2만601명 발생해 누적 확진자 수는 1756만4999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전날 4만64명보다는 1만9463명 줄었지만, 1주 전 일요일인 2일 2만76명보다는 525명 늘어난 수치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국내 발생은 2만582명, 해외 유입은 19명이다. 위중증 환자는 421명으로 열흘 연속 400명대를 기록했다. 사망자는 40명으로 늘어 누적 2만340
- 2022-05-09
- 10:05:45
-
세라젬 척추 의료가전 '라돈안전 제품인증' 획득 세라젬은 한국표준협회(KSA)로부터 '세라젬 V6', 'V4' 등 척추 의료가전에 대해 ‘라돈안전 제품인증’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라돈안전 제품인증’은 한국표준협회와 연세대학교 라돈안전센터가 공동 개발한 라돈 안전 평가모델(RnS)을 토대로 제품의 라돈 농도와 관리 수준을 측정∙평가하는 세계 최초의 인증 제도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시하는 기준보다 강화된 인증기준이 적용되며, 동일 제품규격으로 생산되는 제품을 대상으로 라돈 방출량과 관리 시스템을 측정
- 2022-05-09
- 10:00:12
-
-
오후 9시 기준 전국 코로나 확진자 2만118명…전날 보다 1만9000명 줄어 8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 17개 시도에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2만118명이다. 이는 전날 대비 1만8917명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1주 전인 지난 1일(1만9708명)보다는 410명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5297명, 서울 2715명, 경북 1544명, 경남 1375명, 대구 922명, 인천 905명, 전남 904명, 충남 902명, 강원 808명, 전북 789명, 대전 778명, 충북 701명, 부산 559명, 울산 474명, 제주 391명, 세종 152명이다.
- 2022-05-08
- 22:02:22
-
[코로나19] 확진자 감소세 주춤···닷새째 5만명 아래, 이틀 연속 증가세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째 5만명 아래 수준을 유지했지만 7일부터 이틀 연속 증가세를 보이면서 감소세가 정체 국면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정부 역시 앞서 코로나19 감소세가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일정 규모 수준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4만64명 늘어 누적 1754만439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3만9600명)보다 464명 늘었다. 2주일 전인 지난달 24일(6만4699명)보다는 2만4635명 줄었지만, 1주일 전인
- 2022-05-08
- 21:4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