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김세훈 교수, 美 스포츠의학회지에 시지바이오 '메디클로' 논문 발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석준 기자
입력 2021-04-13 10:5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회전근개 파열 수술 후 발생하는 유착과 이로 인한 강직은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유착 방지제가 개발돼 사용 중에 있지만, 유착 방지제 자체가 파열 힘줄의 치유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이런 가운데 국내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가 개발한 새로운 타입의 유착 방지제 메디클로가 치유 지연 우려 없이 회전근개 파열 수술 환자의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스포츠의학회지(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48, Issue 11, 2020)에는 회전근개 단일열 봉합술에서의 온도반응형 유착 방지제 효과(Effects of a Thermosensitive Antiadhesive Agent on Single-Row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란 제목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해당 연구는 메디클로 투여에 따른 수술 부위의 재파열률(retear rate), 수술 후 강직 발생률 및 임상 경과를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후향적 비교 연구로, 2012년 1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시행된 국내 환자 총 296명(메디클로 투여군 112명, 대조군 184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모든 환자들은 동일한 의사에게 관절경으로 회전근개 파열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전 양 군에 배정된 피험자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관절경 수술이 끝난 후 메디클로 5cc를 견봉하 공간(subacromial space)에 투여했으며, 1년 후 MRI로 회전근개 복원의 재파열을 확인하고 관절의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및 기능도 평가했다.

그 결과, 메디클로 투여군의 재파열률은 17.9%로 대조군의 28.8%보다 의미 있게 낮았고, 1년 뒤 수술 후 강직 발생률은 양 군 사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절가동범위는 6개월 차 전방굴곡(forward flexeion)을 제외하고 어떤 시점에도 양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견관절 기능 점수들을 시점별로 분석했을 때, 지표별로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여줬다. 12개월 차 CMS(Constant-Murley Score)는 메디클로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으나(87.28 vs 81.56), ASES(American Shoulder and VAS score(1.82 vs 1.28)는 대조군이 더 우수했다.
 

[사진=시지바이오 제공]

해당 논문을 발표한 김세훈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2021 대한견주관절학회 춘계 학회에서“건(tendon)의 치유율은 메디클로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했으나 1년 후 강직 발생률은양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유착 방지제를 썼는데도 왜 강직이 호전되지 않느냐 반문할 수 있지만, 선행 연구 논문을 보면 HA(hyaluronic acid)를 써도 관절가동범위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는 기존의 임상 보고가 있다. 메디클로에 포함된 키토산은 인대를 비롯한 다양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한다는 보고가 있고, 이전에 시행한 동물연구에서도 건-골(힘줄-뼈)치유 효과가 우수하게 나온 바 있으며, 이번 임상연구에서도 동등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명확한 기전은 추가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하지만 유착 방지제를 투여 시 치유 방해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교수에 따르면 회전근개 파열 수술 환자에서 강직은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수술 후 강직이 발생하면 수술 경과가 좋지 않고 환자 불편을 초래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유착 방지제들이 개발됐다.

현재 CMC, HA, PEG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필름(film), 막(membrane), 액상(solution), 겔(gel) 타입의 다양한 제형의 유착 방지제가 개발돼 있지만 필름이나 막 타입은 움직임이 있는 부위에 부착해도 다른 부위로 이탈할 수 있으며, 액상의 경우에는 원하는 부위에 도포하기는 편리하지만 유동성이 커 적용 부위를 벗어나거나 빨리 분해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메디클로는 상온에서는 액상이므로 수술 부위에 쉽게 도포할 수 있으면서도 체내에서 빠르게 겔화하므로 관절경 수술에서 생리 식염수에 씻겨 나가는 위험성이 적다"고 발표했다.

김 교수는 “수술 후 건이나 인대의 회복 과정에는 섬유화(fibrosis) 과정이 포함되는데, 유착 방지제가 섬유화 자체를 억제함으로써 수술 부위의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지 않으면서도 유착 방지 효과를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는 그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메디클로는 폴록사머의 구성 비율로 인해 sol-gel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는 겔 타입으로 빠르게 변해 관절경 수술 시 쉽게 씻겨 나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내에서 4주 정도 도포된 부위에 안정적으로 부착돼 유착을 예방한다. 현재 1cc, 1.5cc, 3cc, 5cc 제제가 시판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