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원화 약세 심화, 원자재가격 상승·높은 대중 의존도 때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근미 기자
입력 2022-01-18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국은행, 18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BOK보고서 발표

서울 중구 태평로에 위치한 한국은행 본부[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까지 치솟는 등 강달러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우리 원화가 다른 나라 통화에 비해 유독 절하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으로 우리나라 경제 구조 상 국제원자재가격 상승과 높은 대중 의존도,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주식 비중 축소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한국은행은 '최근 원화 약세 원인 분석' 보고서(BOK이슈노트)를 통해 "지난해 외화자금 수급 상황과 경제 펀더멘털이 양호함에도 원화가 여타 통화에 비해 크게 절하된 것은 우리 경제의 대외 리스크 요인과 환율 상승 기대에 대한 시장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달러인덱스와 주요 신흥국들의 대미 환율에 비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실제 원화는 올들어 달러 대비 1.1% 하락했다. 말레이시아 링깃화가 1.0% 하락한 것보다 더 하락폭이 크다. 일본 엔화, 중국 위안화는 각각 0.7%, 0.4% 하락했다. 같은 기간 대만 달러는 오히려 0.02% 상승했다.

한은은 이 같은 원화 약세 첫째 요인으로 국제원자재가격을 들었다. 김경근 한은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 차장은 "해외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은 교역조건과 경상수지 악화 등을 통해 우리 경제에 상대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이러한 우려가 반영돼 기타 통화에 비해 더 약세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우리나라의 높은 중국 의존도 역시 원화 약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시각이다. 작년 중반 이후 중국 부동산개발 기업 헝다그룹의 디폴트 가능성이 구체화되는 등 중국 실물경기 둔화 우려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중교역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얘기다. 

아울러 해외 투자자들의 주식 리밸런싱(재균형) 과정에서 우리나라 비중이 축소돼 투자자금이 유출된 점 또한 원화 절하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차장은 "국내 주가는 2020년 하반기 가파르게 상승한 이후 지난해부터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도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주식펀드에서 우리나라 비중은 하락세"라며 "특히 작년 하반기부터 반도체 경기 호황이 예상보다 짧을 것이라는 우려가 대두되면서 일시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미쳤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현·선물환 연계를 통한 환율 기대가 강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환율 상승 기대에 따른 선물환 헤지와 투기수요 증가가 자기실현적 환율상승 메커니즘을 통해 원화절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김 차장은 "원화 환율이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 만큼 미국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국제 원자재 가격, 중국 경제, 투자자금 이동, 반도체 경기 사이클 등에 따른 국내 기업 실적 변화 등의 동향을 항상 점검하고 글로벌 자금흐름과 외환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