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칼럼] 한일 관계, 정치·경제 분리해야 여행업계도 산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성현 기자
입력 2022-06-20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일한 한국공정여행업협회 회장

교자채신(敎子採薪). ‘자식에게 땔나무를 해 오는 법을 가르치다’는 뜻으로 당나라 임신사의 속맹자 ‘송신(宋臣)’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최근 여행업계를 포함한 소상공인·소기업·중기업에 최대 1000만원의 손실보전금을 지급한 것을 보고 문득 떠오른 말이다.  

이 사자성어에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근본적인 처방에 힘쓰라는 뜻이 담겼기 때문이다. 물론 앞서 여행업이 집합금지 업종으로 지정받지 못해 그동안 아무런 지원을 받지 못했던 것에 비하면 진일보한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여행사 4곳 중 1곳이 문 닫을 만큼 어려움을 겪었다. 폐업 비용 등으로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문을 열고 있었던 곳은 포함도 하지 않은 수치다. 생존한 여행사들도 큰 손실을 보며, 어렵게 지금까지 버티고 있다. 최대치인 1000만원을 보상받았다고 해도 여행업계가 웃을 수 없는 이유다. 

결국 여행업계가 살아날 길은 하늘길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열리는 것밖에 없다. 최근 한국인이 현지에서 격리 없이 여행 가능한 국가가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등 약 60개국에 달하는데 무슨 소리냐고 할 수 있다. 

가정해 보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할 수 없고, 현대자동차가 자동차를 팔 수 없다면 수익을 어디서 내야 할까. 쉽게 답을 찾을 수 없다. ‘캐시카우(현금창출원)’라고 불리는 사업들이 무너지면 당장 생존의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여행업계에서 이 같은 사업이 바로 일본상품이다. 여행업계뿐만 아니라 항공업계, 호텔업계 등에도 해당하는 얘기다. 실제 코로나19 확산 이전까지 우리나라를 찾은 관광객 5명 중 1명이 일본인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19년의 경우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1745만명 중 일본인은 327만명에 달했다.

한국인도 마찬가지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은 해외 여행지 1위가 일본이다. 2019년에는 약 700만명이 일본 여행을 갔다. 서로 역사와 정치 문제로 싸우고 있었지만, 교류는 어느 나라보다 많았다. 최근에는 양국 간 관광이 일부 허용된다는 소식으로 관련 상품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는 상황이다. 

일본은 지난 10일부터 한국을 포함해 단체 관광객의 입국을 허용했다. 여행사 예약, 인솔자 동행, 마스크 착용, 코로나 치료비 보장 보험 가입 동의 등이 조건이다. 인솔자는 여행자의 교통수단, 동선, 음식점 내 착석 위치까지 파악해야 한다. 아직 완전한 정상화까지는 멀었다는 뜻이다. 

양국의 관광교류가 본격화되려면 2020년 3월 중단된 무사증 입국 재개가 필수다. 입국 전 코로나 검사 음성확인서 제출 요건도 완화돼야 한다. 현재 일본 현지에서 한국 귀국을 위해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결과서를 발급받을 경우, 최대 20만원의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일본인이 한국 여행을 할 때도 입국 후 8만원을 지급하고 검사를 받아야 한다. 항공권 등 여행 비용이 과거보다 크게 오른 상태에서 추가적인 부담까지 감수해야 하는 셈이다.  

윤석열 정부의 큰 기조 중 하나는 일본과 관계 개선이다. 역사적인 문제를 그들에 시선에 맞춰 무엇인가 얻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과거처럼 정치와 경제를 분리해서 문제를 처리한다면 이 같은 여행업계의 어려움을 정부가 해소해 줄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여행업계가 고기를 잡을 수 있게 된다면 지원을 해달라는 볼멘소리도 사그라질 것이다.  
 

유일한 한국공정여행업협회 회장 [사진=한국공정여행업협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