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중국 경제 18.3% "날았다"…코로나 기저효과 (종합)
중국 경제가 1분기 18.3%의 성장률을 기록했다는 내용의 신화통신 시각물. 지난해 1분기 -6.8%와 비교해 급반등을 이뤘다.[사진=신화통신] 올해 1분기 중국 경제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18%대 고성장을 이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경제가 사상 최악의 위기를 맞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다. 2분기부터는 5~6%대의 안정적인 성장률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24조9300억 위안(약 4100조원)으로
2021-04-16 15:32:17
-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 18.3%... 30년만에 최고치 (상보)
[사진=로이터]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분기 기준 3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한 데 따른 기저효과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했다. 중국이 지난 1998년 분기별 GDP 성장률을 발표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다. 다만 이는 앞서 블룸버그와 로이터가 집계한 전망치인 18.5%와 19% 상승에는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전 분기 대비로는 GDP가 고작 0.6% 증가했
2021-04-16 11:40:18
-
[속보] 중국 1분기 GDP 성장률 18.3%... 30년래 최고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분기 기준 3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6일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24조9310억 위안(약 4270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3% 증가했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의 지난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6.8%를 기록했었다. 이는 44년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자, 중국 당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최저치였다.
2021-04-16 11:02:18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6일) 6.5288위안...가치 0.01% 상승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6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009위안 내린 6.528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01%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813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6.007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99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1.21원이다.
2021-04-16 10:23:27
-
중국, 넉달째 미국국채 샀다...보유액 2019년 7월 이후 최고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의 2월 미국 국채 보유량이 2019년 7월 이후 최고치로 상승했다. 15일(현지시각)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지난 2월 기준 1조1000억 달러(약 1228조원)로, 전달보다 90억 달러 증가했다. 보유액으로는 2019년 7월 이후 1년 7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중국은 지난해 11월부터 넉달 연속 미국 국채를 순매수했다. 이는 미국 국채가 지난 1980년대 이후 가장 최악의 분기를 보낸 가운데 나타난 움직임이다. 블룸버그 바클레이 지수에 따르면 미국 국채 가격은
2021-04-16 08:02:40
-
중국 30년래 최고 성장률 예상... 통화 긴축엔 여전히 '신중'
[사진=중국인민은행 홈페이지] 중국이 가파른 경기 회복세에도 현행 금리를 고수하면서 온건한 통화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올 1분기 20%에 가까운 역대 최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섣부른 통화 긴축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5일 1년물 중기자금지원창구(MLF)를 통해 시중에 1500억 위안(약 25조6000억원) 유동성을 주입한다고 발표했다. MLF 금리는 2.95%로 전달과 동일했다. 이날 만기가 도래하는 MLF 자금 1000억 위안은 물론, 25일 만기가 도래하는 맞춤형MLF(TMLF) 5
2021-04-15 16:26:03
-
"1분기 성장률 30년래 최고치 전망" 미리 보는 중국 경제지표
[사진=로이터] 중국이 올해 1분기 18%대 경제성장률을 실현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망대로라면 30년 이내 분기별 최고 수준이다. 다만 이런 높은 수치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일 뿐, 실제 최근 3개월간 중국 경기 회복세는 되려 둔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15일(현지시각) 블룸버그가 경제 전문가 다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중국의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 전망 예상 평균치는 18.5%로 나왔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이와 동일한 전망치를 내놓았다. 중국
2021-04-15 11:23:5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5일) 6.5297위안...가치 0.1% 상승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065위안 내린 6.529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1%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8245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994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96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0.95원이다.
2021-04-15 10:25:07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4일) 6.5362위안...가치 0.14% 상승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092위안 내린 6.536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14%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812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995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914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1.71원이다.
2021-04-14 10:23:43
-
중국 1분기 수출 50% 가까이 급증... 3월엔 수입 대폭 증가
[사진=연합뉴스] 중국의 지난달 수입 증가율이 약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3월 수입이 급감했던 기저효과다. 수출도 30% 이상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전달과 예상치는 크게 밑돌았다. 지난 1분기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수입 전년 동비 38.1% 급증 13일 중국 해관총서는 달러 기준 3월 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1% 증가한 2273억4000만 달러(약 256조200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1-04-13 14:41:07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3일) 6.5454위안...가치 0.19% 상승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3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124위안 내린 6.545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19%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796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9836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998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1.81원이다.
2021-04-13 10:21:32
-
1분기 성장률 발표 앞둔 중국…"급전환 없다" 연착륙 재강조
리커창 중국 총리(가운데)가 지난 9일 베이징에서 열린 전문가·기업인 좌담회에서 경제 정책 운용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사진=중국정부망 ]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거시경제 정책의 연속성 유지를 통한 연착륙을 강조했다. 추가적인 경기 부양과 금융 리스크 완화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고충이 엿보인다. 12일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리커창 총리는 지난 9일 열린 전문가·기업인 좌담회를 주재하며 최근 경제 운용 상황을 점검했다. 장샤오
2021-04-12 16:38:42
-
"외국인 부동산 투자 지원" 중국 하이난 자유무역항 지원책 잇달아
[사진=중국 하이난성 자유무역항 [사진=신화통신]] 중국 하이난(海南)성이 이번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부동산, 금융 투자 방면의 지원책을 내놓았다. 하이난성을 홍콩·싱가포르에 버금가는 자유무역항으로 만들겠다는 중국 정부는 잇달아 각종 지원책을 쏟아내고 있다. ◆ "외국인 실수요 부동산 투자하면, 외환결제 편리화 돕겠다" 중국 인민은행,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증권감독관리위원회, 외환관리국이 지난 9일 '하이난 개혁개방 심화에 대한 금융지원책(이하 의견)'을 발표했다고 매
2021-04-12 11:19:21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2일) 6.5578위안...가치 0.26% 하락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2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169위안 올린 6.5578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26% 하락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804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977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90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1.01원이다.
2021-04-12 10:30:22
-
중국, 한밤중 5개 도시 책임자 불러놓고 "부동산 투기 막아라"
중국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 중국도 한국만큼이나 고삐 풀린 집값을 잡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부 지역 집값은 1년새 50% 가까이 올랐다고 한다. 중국 당국이 지난 8일 한밤중에 집값 투기가 심각한 5개 도시 책임자를 '소환'했을 정도다. ◆ 4년 만에 등장한 '웨탄'···한밤중 5개 도시 관계자 불러놓고 경고 9일 중국 매일경제신문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니훙(倪虹) 주택건설부 부부장은 전날 밤 광저우(廣州)·허페이(合肥)·닝보(寧波)·둥관(東
2021-04-09 14:46:15
-
중국 생산자물가 4.4%↑…2년8개월래 최고치
[사진=로이터] 중국의 생산자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4%대로 올랐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3월 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망치(3.6%)와 전달치(1.7%)를 훨씬 뛰어넘은 것이다. 상승률은 2018년 8월(4.1%) 이후 2년 7개월 만에 처음으로 4%대로 상회했다. 아울러 지난 2018년 7월(4.6%) 이후 최고치이기도 하다. PPI 상승률은 앞서 1월 0.3%로, 1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하지만 이후 가파른 상승
2021-04-09 11:17:50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9일) 6.5409위안...가치 0.08% 상승
위안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9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가 위안화의 달러 대비 기준환율을 전 거래일보다 0.0054위안 내린 6.540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0.08%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환율은 7.794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983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9847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70.51원이다.
2021-04-09 10:21:10
-
[그래프로 보는 중국]中국유은행 점포 4년간 2667개 줄었다
[사진=공상은행 로고] 최근 4년간 중국 주요 국유은행 지점이 2667개 줄어들었다.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확대되고 비용절감 등 효과를 거두기 위해 은행 점포 정리 움직임이 확대되면서다. 8일 중국 증권일보에 따르면 지난해 말 중국 6대 국유은행의 점포 수는 10만6600개로 지난 2017년 말 대비 2667개 감소했다. 은행 폐쇄 점포 수는 2016~2017년 874개, 2017~2018년 367개, 2018~2019년 834개, 2019~2020년 592개였다. 2016~2020년 공상은행 점포가 제일 많이 문을 닫았다. 4년간 모두 988개 지점이 폐
2021-04-09 00:30:00
-
"게임·제약·신에너지 등" 中 하이난 시장진입 장벽 더 낮춘다
중국 하이난성 자유무역항 [사진=신화통신] 중국 정부가 국제 자유무역항으로 조성하는 하이난성이 최근 시장 진입 장벽을 더 낮추기로 했다. 특히 의료, 금융, 문화교육 등 서비스업 방면에서 규제를 적극 완화하기로 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와 상무부는 8일 '하이난 자유무역항 건설을 지지하기 위한 시장진입 완화에 관한 의견'을 발표해 의료·금융·문화교육·상업용 우주개발·종자·신에너지 산업 등 5대 영역에서 22개 시장 규제 완화 조치를 내놓았다고 중국
2021-04-08 16:09:47
-
"제조업 혁신 장려" 中, R&D지출 대폭 감세…13조 감세 효과 기대
중국이 기업 혁신과 산업 업그레이드를 촉진하기 위해 제조업계 연구개발(R&D) 비용 공제 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미·중 갈등 속 기술 자립이 절실한 중국이 기업들의 제조업 미래 기술 개발 의지를 적극 북돋으려는 조치로 풀이됐다. 중국 재정부, 세무총국이 지난달 31일 '기업 연구·개발 비용 세전 공제에 대한 정책'을 발표했다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산하 인터넷 매체인 인민망이 7일 보도했다. 여기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올해부터 기업이 연구개발비로 지출한 금액의 100%를
2021-04-08 15:5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