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7년까지 中 대미수출 700조원 감소 전망...韓은 68조 감소" 미국과 중국이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 돌입한 가운데, 현행 관세율이 유지될 경우 중국의 대미 수출이 향후 2년 동안 약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산하 경제복잡성관측소(OEC)가 제공한 ‘관세 시뮬레이터’에 따르면 2027년까지 중국의 대미 수출은 4850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CNBC가 28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는 전 세계 대미 수출 감소폭을 모두 합친 것보다 큰 수준이다. 미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의 중국산 제품 총 2025-07-29 11:13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9일) 7.1511위안...가치 0.06% 하락 29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4위안 올린 7.1511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063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2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5766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9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9 10:19
-
日 "대만기업 지원에 761조원 對美투자금 활용 가능"…美·日·대만 반도체 동맹 강화되나 일본이 미국의 관세 인하를 대가로 약속한 5500억 달러(약 76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금을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대만 기업 지원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미국을 주축으로 일본과 대만의 ‘반도체 동맹’이 강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지난 26일 NHK에 출연해 미국과의 무역협정 패키지를 통해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미국이나 일본 기업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예컨대 대만의 반도체 2025-07-28 15:08
-
미·중 정상회담 '길닦기'…스톡홀름 회담서 미·중 관세휴전 연장하나 미국과 중국이 '스톡홀름 무역 회담'에서 관세 휴전 기한을 90일 연장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아울러 이번 회담이 미·중 양국 간 연내 정상회담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협상 대표단은 28일(현지시간)부터 29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관세 인하 기간 연장을 포함해 중국발 과잉생산, 펜타닐 수출, 미국 기술통제 등 주요 쟁점 사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양측은 내달 12일 마감되는 미·중 관세 휴전 기한 2025-07-28 11:41
-
대만, 美 관세 취약 산업 지원에 4.4조원 투입키로 미국과 대만 간의 무역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대만 정부와 업계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대만 경제전문매체 징지르바오는 “대만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이번주에 공개될 예정”이라면서 “대만은 일본과 한국보다 낮은 관세율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부와 업계는 여전히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2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입법원(국회)은 최근 산업계 지원을 위한 930억 대만달러(약 4조4000억원) 규모의 특별예산이 포함된 ‘국제 정세 대응 경제·사 2025-07-28 11:06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8일) 7.1467위안...가치 0.07% 하락 28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8위안 올린 7.146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7%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99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40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16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08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8 10:1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5일) 7.1419위안...가치 0.05% 하락 2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34위안 올린 7.141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5%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0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65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5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0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5 10:17
-
中 공급 개혁 정책 신호에 원자재 선물 급등…폴리실리콘 이달 50% 이상 급등 중국 정부가 네이쥐안(출혈 경쟁)을 막기 위해 공급 개혁을 진행할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원자재 선물 가격 급등하고 있다. 24일 중국 경제 전문 매체 증권시보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선물 가격은 전날 5.5% 상승한 5만80위안/톤에 마감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폴리실리콘 가격은 7월 들어서만 50% 이상 뛰었다. 같은 날 산업용 실리콘도 장중 5% 급등했다. 증권시보는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전지 핵심 원자재”라면서 “반(反)네이쥐안 정책 추진으로 가장 먼저 급등세를 보였다”고 2025-07-24 17:22
-
EU 정상 만난 習 "유럽이 직면한 도전은 中 때문 아니야" “현재 유럽이 직면한 도전은 중국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중국과 EU간 협력이 심화됨에 따라 불균형도 심화됐다. 양자 관계의 재균형을 이루는 것이 필수적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중국과 유럽연합(EU) 정상이 24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나 경제·무역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다양한 분야에서의 양측간 협력을 논의했지만 예상대로 이견을 좁히긴 힘들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5-07-24 16:35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4일) 7.1385위안...가치 0.04% 상승 2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9위안 내린 7.138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4%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4077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831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7003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31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4 10:20
-
"제2의 홍콩으로.." 中 하이난 전역서 12월18일부터 '무관세' 중국 최남단에 위치한 하이난성이 오는 12월 18일 '봉관((封關·특수지역으로 완전 분리)'을 시행하며 '제2의 홍콩'으로 도약을 본격적으로 모색한다. 봉관은 세관을 봉쇄한다는 뜻으로, 하이난섬 전역을 특별 세관구역으로 지정해 홍콩처럼 중국 본토와 차별화된 무관세 등의 우대 정책을 누릴 수 있다는 의미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왕찬린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부주임은 이날 국무원 신문판공실 기자회견에서 당중앙의 비준을 거쳐 12월 18일 하이난 자유무역항 봉관 2025-07-23 17:17
-
스톡홀름서 미중 관세휴전 연장될까…대러시아·이란 석유 구매 쟁점으로 미국과 중국이 오는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양국간 관세 유예 마감 연장을 목표로 세 번째 고위급 무역회담을 가진다. 다만 미국이 중국의 러시아·이란산 석유 구매 문제 등 지정학적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는다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22일(현지시각)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다음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중국과 무역협상을 진행한다며 다음 달 12일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유예 마감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협상 타결 2025-07-23 11:35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3일) 7.1414위안...가치 0.06% 상승 23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46위안 내린 7.141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6%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920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73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66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2.89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3 10:19
-
EU 지도부, 23~24일 日·中과 연쇄 정상회담…트럼프 불확실성 속 공조 모색 유럽연합(EU)이 일본·중국과 연달아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미국과의 무역관계에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양국과 협력 모색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EU 이사회에 따르면 안토니우 코스타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오는 23일과 24일 각각 일본과 중국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EU는 일본과의 정상회담에서 안보, 무역 및 경제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하고 양측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 2025-07-22 11:20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2일) 7.1460위안...가치 0.09% 상승 22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62위안 내린 7.1460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9%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601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514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449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3.25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2 10:18
-
中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속도'...'쩐의 전쟁' 펼쳐진다 최근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수요가 폭증하며 대규모 공급 계약 체결이 잇따라 체결되고 있다.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뭉칫돈도 몰리고 있다. 21일 중국 제일재경일보 등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업체인 유비쉬안(優必選, 유비테크)이 지난 18일 상하이 미이자동차로부터 9051만 위안(약 170억원) 어치 장비 물량을 수주했다. 매체는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업계 사상 단일 기업으로는 최대 구매 조달액이라고 전했다. 중국의 또 다른 휴머노이드 로봇업체 즈위안(智元 애지봇) 2025-07-21 16:4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1일) 7.1522위안...가치 0.03% 하락 2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4위안 올린 7.1522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3%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322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55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602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4.02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7-21 10:19
-
"샤오미 기적창조, 화웨이 존중" 中기업에 연일 찬사 보낸 젠슨 황 텐센트, 넷이즈, 알리바바, 샤오미, 미호요…중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극찬한 중국 기업들이 화제다. 17일 로이터통신과 중국 매체 봉황망 등에 따르면 황 CEO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개막식에 연사로 등장해 “딥시크와 알리바바, 텐센트, 미니맥스, 바이두의 어니봇 같은 AI 모델들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날 연설에서 그가 거론한 기업은 텐센트, 넷이즈, 미호요, 게임사이언스, 바이트댄스, 딥시크, 알리 2025-07-17 17:19